본문 바로가기

주제별 정리/무아와 유아의 현대적의미

제3장. 각 개별자는 하나의 무한(無限)이 그려놓은 무수한 가상의 원(圓)에 지나지 않는 것인가?


    제3장. 각 개별자는 하나의 무한(無限)이 그려놓은 무수한 가상의 원(圓)에 지나지 않는 것인가?

    自我가 실체 없는 경계 안에 말뚝을 박은 실체 없는 경계 안의‘나’에 지나지 않는다면 결국 나는 나 아닌 것에
    의해 형성되는 연기의 산물이기에 자아는 緣起的 관계로 해체된다. 연기의 인과 고리는 한히 반복됨으로 결국
    나무 한 그루가 우주 전체에 퍼져나간다.

 
    억겁의 역사가 나의 五蘊 안에 저장되어 있고 억겁이 역사에 전생(前生)을 거슬러 올라가면 위의 방식으로 모든
    것들의 기억이 나 안에 저장되고 나는 결국 無限으로 확대되고 무한으로 해체된다.
   
    내가 무한이 되고 너도 무한이 되면 너와 나의 구분이 없어지고 일체의 하나의 무한이 된다.

    상호 인과성이라는 기의 논리는 각 개체의 경계를 한없이 흩어 놓아서 일체를 하나로 만들어 놓는다. 일체가
    하
나의 시스템인 종중 무진의 연기과정에 있기 때문에 그중에 어느 하나로 고립된 개체에 있지 않고 전체적인
    상호인
과 작용 속에 있게 된다.
 
    그리하여 나비의 날개 짓 한번이 지구의 반대편에 비를 몰고 오기도 하고 허공속의 작은미소 하나가 천년 후에 다
    사람의 마음속에 그림을 일으키게 되는 연기가 가능하다.
경계는 차단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통과의 지점을 알
    주기 위해서 그 경계 너머로 나아갈려는 향수와 욕망을 불러 일으키기 위해서 안과 밖이 서로 내통할 수 있는
    구별. 구멍으로 이루어진 허상일 뿐이다.
 
    따라서 경계에 둘러 쌓모든 개별자는 하나의 무한이 허공에 그려놓은 무수한 가상의 원(圓)일 뿐이다. 하나의
    누방울도 무한으로 되돌아 가듯이..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한자경교수) (Thought By/Way-Dammo)